다카야스 동맥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야스 동맥염은 대동맥과 주요 분지에 발생하는 육아종성 염증이 특징인 만성 혈관염이다. 주로 아시아 여성에게서 발병하며, 2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유전적 요인이 일부 작용하며, 염증, 협착, 혈전증, 동맥류 등을 유발한다. 증상으로는 전신성 염증, 무맥, 고혈압, 시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부전, 뇌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진단은 혈관 조영술, CT, MRA, FDG PET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혈관 재건술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예후는 양호한 편이며, 5년 생존율은 약 90%이다. 1908년 일본의 안과의사 다카야스 미키토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성 질환 - 천식
천식은 만성적인 기도 염증으로 쌕쌕거림,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폐활량 검사로 진단하며, 유발 요인 회피와 약물 요법으로 증상 조절 및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하다. - 스테로이드 반응성 염증성 질환 - 포도막염
포도막염은 눈의 특정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염증 발생 부위와 양상에 따라 분류되며, 충혈, 눈부심, 통증,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고,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한다. - 혈관 질환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이 굳고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세동맥경화증, 묀케베르크 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나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 내 죽상판 형성으로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이다. - 혈관 질환 - 동맥류
동맥류는 동맥벽 약화로 동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질환으로, 진성 동맥류와 가성 동맥류로 나뉘며, 크기, 위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파열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 후 수술 또는 혈관내 시술로 치료한다.
다카야스 동맥염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다카야수 동맥염 (Takayasu arteritis) 비특이성 대동맥염 (Nonspecific aortoarteritis) 다카야수병 (Takayasu's disease) |
진료과 | 내과 신경과 소아과 영상의학과 |
임상 정보 |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유형 | (정보 없음)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인 | (정보 없음)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정보 없음) |
약물 | (정보 없음)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정보 없음) |
사망률 | (정보 없음) |
식별 | |
ICD-O | (정보 없음) |
OMIM | 207600 |
MedlinePlus | 001250 |
DiseasesDB | 12879 |
MeSH | D013625 |
2. 역학
일본에 환자가 가장 많으며, 인도,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도 환자가 많다.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비교적 환자 수가 적다.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남녀 비율은 1:10이다. 발병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30대와 40대가 많다.
다카야스 동맥염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동맥과 주요 분지에서 분절적이고 부분적인 육아종성 염증이 특징이다. 이러한 염증은 동맥의 협착, 혈전증, 동맥류를 유발한다.[4] 만성 혈관염으로 인해 혈관에 불규칙한 섬유화가 발생하여 때로는 광범위한 내막 섬유증(혈관 내측 부분의 섬유화)을 유발한다.[8] 염증, 육아종, 섬유화로 인한 현저한 협착은 자기공명 혈관조영술(MRA), 컴퓨터 단층 혈관조영술(CTA), 또는 동맥 혈관조영술(DSA)과 같은 동맥 연구에서 자주 관찰된다.
다카야스 동맥염은 초기 "염증성 단계"와 후기 "무맥 단계"로 나뉜다. 초기에는 불쾌감, 발열, 야간 발한, 체중 감소, 관절통, 피로, 실신과 같은 전신 증상이 나타나고, 후기에는 혈관 협착으로 인한 팔 또는 다리의 파행증, 신동맥 협착에 의한 고혈압, 뇌 혈류 감소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등이 나타난다.[3] 실신은 쇄골하동맥 도절 증후군 또는 경동맥동 과민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
3. 원인
4. 증상
후기 단계에서는 동맥벽의 약화로 국소적인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파열 및 혈관 출혈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레이노 현상 또는 손가락 괴사는 드물게 나타나며, 관상동맥 동맥류가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7]
신체 소견으로는 맥박 소실・감소, 혈압의 좌우 차이, 혈관 잡음 등이 있으며, 맥박이 소실되거나 감소하는 증상은 이 질환을 '무맥병'이라고 부르는 이유이다.
4. 1. 전신 증상
일부 환자들은 불쾌감, 발열, 야간 발한, 체중 감소, 관절통, 피로, 실신과 같은 징후와 증상을 동반하는 "염증성 단계"를 겪는다. 실신은 쇄골하동맥 도절 증후군 또는 경동맥동 과민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 또한 빈혈이 나타나거나 적혈구 침강 속도 또는 C-반응 단백질 (비특이적 염증 표지자)이 현저하게 상승하기도 한다.
4. 2. 동맥염에 의한 증상
일부 환자들은 불쾌감, 발열, 야간 발한, 체중 감소, 관절통, 피로, 실신과 같은 징후와 증상을 보이는 전신성 질환인 "염증성 단계"를 겪는다. 실신은 쇄골하동맥 도절 증후군 또는 경동맥동 과민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 또한 종종 빈혈이 나타나며 적혈구 침강 속도 또는 C-반응 단백질 (비특이적 염증 표지자)이 현저하게 상승한다. 초기 "염증성 단계" 다음에는 종종 이차적인 "무맥 단계"가 나타난다.[3] "무맥 단계"는 팔 또는 다리의 파행증, 고혈압을 유발하는 신동맥 협착, 뇌 혈류 감소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과 같이 혈관 내막의 협착으로 인한 혈관 부전으로 특징지어진다.[3]
신동맥 협착은 고혈압을 유발한다. 정상적으로 관류된 신장은 레닌을 적절한 양으로 생성한다. 신동맥 협착은 사구체 옆 장치의 저관류(혈류 감소)를 유발하여 레닌 분비를 과도하게 하고, 알도스테론의 혈중 수치를 높여 결국 수분과 염분 보유 및 고혈압으로 이어진다. 질병의 신경학적 증상은 정도에 따라 다르며, 혈관 폐쇄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가벼운 현기증에서 발작(심각한 경우)까지 나타날 수 있다. 다카야수 동맥염의 드물지만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시야 결손, 시력 상실 또는 망막 출혈의 형태로 나타나는 눈의 침범이다.[8][6] 다카야수 동맥염 환자 중 일부는 선행 전신 질환 없이 늦은 혈관 변화만 나타낼 수 있다. 후기 단계에서는 동맥벽의 약화로 국소적인 동맥류가 발생할 수 있다. 모든 동맥류와 마찬가지로 파열 및 혈관 출혈 가능성이 있으며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만성적인 과정과 좋은 측부 혈관 발달을 고려할 때, 레이노 현상 또는 손가락 괴사는 다카야수 동맥염에서 매우 드물다. 이 질환의 드문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 동맥류가 있다.[7]
근적외선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레이저 도플러 영상은 혈관 부전 환자에서 망막의 중심 동맥 및 정맥에서 특징적인 혈류 파형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이러한 환자는 중심 망막 동맥에서 부드러운 수축기-이완기 맥박을 보일 수 있다.
5. 합병증
- 판막 질환
- 뇌출혈
6. 진단
다카야스 동맥염은 여러 검사 방법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 혈액 검사: 적혈구 침강 속도 항진, CRP 양성, 백혈구 증가, 응고능 항진, 고감마글로불린혈증 등이 관찰된다.[12] 펜트락신-3가 질병 활성도의 지표로 유용할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20]
- 초음파 단층 촬영 검사: 경동맥 초음파 단층 촬영 검사(경동맥 에코)에서 보이는 마카로니 사인은 총경동맥의 전주성 벽 비후와 협착을 나타내며, 침습성이 적고 간편하여 1차 의료에서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21]
- 혈관 조영술: 카테터를 동맥 내에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입하여 검사한다. 대동맥 및 주요 동맥의 협착, 폐쇄, 확장, 동맥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지만, 대동맥염 진단 자체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검사와 동시에 혈관 내 치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CT, MRI: 조영제를 사용한 검사는 본증 진단에 매우 중요하며, 다이내믹 조영 기법을 통해 동맥 협착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 CT 혈관 조영술, MR 혈관 조영술: 조영·비조영 MRI나 조영 CT 정보를 3차원적으로 재구성한 MRA(MR 혈관 조영술) 및 CTA(CT 혈관 조영술)는 혈관 조영술보다 정밀도는 떨어지지만 유사한 정보를 제공한다.
- PET-CT: 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FDG, 양전자 방출 플루오린으로 표지된 글루코스 유사체)를 사용한 PET에서는 염증 부위가 고집적 부위로 관찰된다. 하지만 염증이 좁은 동맥벽에 국한된 경우 동맥 경화성 염증과의 감별이 어렵다. PET-CT는 FDG 고집적 범위를 정밀하게 평가하여 염증이 동맥벽에서 주변 조직으로 퍼진 경우 대동맥염 진단을 용이하게 하며, 염증 범위 평가에도 유용하다.[22]
; 병형 분류[23]
유형 | 설명 |
---|---|
I형 | 대동맥궁 분지 혈관 |
IIa형 |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그 분지 |
IIb형 | IIa형 병변 + 흉부 하행 대동맥 |
III형 | 흉부 하행 대동맥, 복부 대동맥, 신동맥 |
IV형 | 복부 대동맥, 및/또는 신동맥 |
V형 | IIb형 + IV형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및 그 분지 혈관, 흉부 하행 대동맥에 더하여 복부 대동맥, 및/또는 신동맥) |
6. 1. 감별 진단
다카야스 동맥염의 진단은 혈관 조영술, CT 스캔,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또는 FDG PET에서 대형 및 중형 혈관의 혈관 병변을 입증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12] 의료용 초음파를 사용하여 비정상적인 확산성 동맥벽 비후, 즉 '마카로니 징후'를 관찰하는 것은 이 질환을 강력하게 시사한다.[13] FDG PET는 치료 전 활성 다카야수 동맥염 환자뿐만 아니라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는 재발 환자의 활성 염증 진단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5][14]조영 혈관 조영술이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다. 가장 먼저 감지할 수 있는 병변은 내강의 국소적인 협착 또는 불규칙성이다. 이는 협착 및 폐색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징적인 소견은 "건너뛰기 병변"의 존재로, 협착 또는 동맥류가 정상 혈관과 교대로 나타난다. 혈관 조영술은 혈관 해부학 및 개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벽의 염증 정도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12]
발병 연령은 다카야수 동맥염을 다른 유형의 대혈관 혈관염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다카야수 동맥염은 40세 미만의 발병 연령을 보이며, 거대 세포 동맥염은 60세 이상의 발병 연령을 보인다.[12] 다카야수 동맥염은 ANCA, 류마티스 인자, ANA, 항카디오리핀 항체와 관련이 없다.[12]
동맥 조영술로 확진한다. 대동맥과 그 주요 분지에 폐쇄성 또는 확장성 병변이 다발하면 이 질환을 의심하고, 염증 반응이 있으면 확진한다. 그 외, 자각 증상 및 검사 소견이 일치하고, 감별 질환이 배제될 수 있는 경우도 이 질환으로 한다.
감별해야 하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동맥 경화증
- 염증성 복부 대동맥류
- 혈관 베체트병
- 매독성 중막염
- 거대 세포 동맥염
- 선천성 혈관 이상
- 세균성 동맥류
- 전신성 경화증
- 버거병
7. 치료
대부분의 다카야스 동맥염 환자는 스테로이드인 프레드니손에 반응한다. 일반적인 시작 용량은 체중 1kg당 약 1mg(대부분의 경우 하루 약 60mg)이다. 장기간 고용량 프레드니손 사용의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시작 용량은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제한하면서 증상을 조절하는 용량으로 수주에 걸쳐 점차 줄여나간다.
마이코페놀레이트와 토실리주맙으로 유망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15] 치료가 높은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장기적인 손상이나 사망이 발생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는 혈관 우회술 또는 혈관 성형술과 스텐트 삽입을 통해 재혈관화가 필요할 수 있다. 재혈관화 후의 결과는 기저 질환의 심각성에 따라 다르다.[16]
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 하거나 스테로이드를 제외한 치료를 짧은 기간 동안 추가하는 단계를 I도로 하고, 치료의 난이도나 합병증에 따라 V도까지 5단계로 분류한다.
염증성 활동성 병변이 있는 경우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다.[23] 부작용으로 인해 스테로이드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사이클로스포린,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 외, 혈관 협착에 대해 항혈소판제나 혈관 확장제, 고혈압에 대해 강압제 투여 등의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현재는 크기가 큰 스텐트의 개발도 진행되어, 협착이 심한 대혈관에 대한 혈관 내 치료도 가능해지고 있다.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허혈에 의한 증상이 심할 때에는, 외과적으로 바이패스술 등의 혈류 재건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8. 예후
생존 예후는 양호하며, 5년 생존율은 약 90%, 10년 생존율은 약 80%이다.[1] 사망 원인은 판막증으로 유발되는 심부전, 고혈압, 뇌출혈 등이다.[1]
9. 역사
1908년 일본 안과의사 다카야스 미키토가 일본 안과학회 연례 회의에서 다카야스 동맥염의 첫 번째 사례를 기술했다.[17][18] 다카야스는 눈 뒤쪽(망막) 혈관의 특이한 "화환 모양"을 묘사했다. 같은 회의에 참석한 오니시 박사 및 가고시마 박사라는 두 명의 일본 의사들은 손목 맥박이 없는 사람들에게서 유사한 눈 소견을 보고했다.
현재는 망막에서 발생하는 혈관 기형은 목의 동맥 협착에 대한 혈관 신생 반응이며 일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맥박 부재는 팔로 가는 혈관의 협착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카야스가 묘사한 눈 소견은 북아메리카와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환자에게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1908년에 고안 우진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24]
10. 진료과
알레르기과, 류마티스내과, 심장혈관내과 등
참조
[1]
웹사이트
Takayasu arteritis
https://www.autoimmu[...]
2022-06-14
[2]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Elsevier
2020
[3]
웹사이트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 Internal Medicine | ACP
http://mksap15.acpo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2010-11-28
[4]
Emedicine
Takayasu Arteritis — Pediatrics
[5]
논문
FDG-PET of Takayasu's Arteritis
2014
[6]
논문
Ocular manifestations of the aortic arch syndrome (pulseless disease; Takayasu's disease) (Translated from French)
1967-11
[7]
논문
Coronary Artery Aneurysms: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2017-05-05
[8]
서적
Vascular Pathology
Kaplan Inc.
2008
[9]
논문
Identification of Multiple Genetic Susceptibility Loci in Takayasu Arteritis
2013-07-02
[10]
논문
Identification of Susceptibility Loci in IL6, RPS9/LILRB3, and an Intergenic Locus on Chromosome 21q22 in Takayasu Arteritis in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2015-04-27
[11]
논문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of the MLX gene is associated With Takayasu arteritis
2018
[12]
서적
Vasculitis in Clinical Medicine
2010
[13]
논문
Takayasu Arteritis
2018
[14]
논문
Role of FDG PET-CT in Takayasu Arteritis
2012-04
[15]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tocilizumab in treatment of Takayasu arteriti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0
[16]
논문
Long-term outcome for 120 Japanese patients with Takayasu's disease. Clinical and statistical analyses of related prognostic factors.
1994-10
[17]
WhoNamedIt
[18]
논문
A case with peculiar changes of the central retinal vessels
1908
[19]
웹사이트
「CHCC2012」の概要と改訂のポイント
http://www.anca-aav.[...]
2016-01
[20]
논문
Pentraxin-3 as a Marker of Disease Activity in Takayasu Arteritis
2011-10-04
[21]
논문
Diagnosis of early Takayasu arteritis with sonography
2002
[22]
논문
Role of FDG PET-CT in Takayasu arteritis: sensitive detection of recurrences
2012
[23]
웹사이트
高安動脈炎(指定難病40)
https://www.nanbyou.[...]
[24]
논문
奇異ナル網膜中心血管ノ変化ノ一例
1908
[25]
웹인용
Takayasu arteritis
https://www.autoimmu[...]
2022-06-14
[26]
서적인용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Elsevier
2020
[27]
웹인용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 Internal Medicine | ACP
http://mksap15.acpon[...]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2010-11-28
[28]
Emedicine
Takayasu Arteritis - Pediatr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